중세 국어의 합성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1:52
본문
Download : 중세 국어의 합성법.hwp
파생어는 파생 접사의 위치에 따라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와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구조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4. 부사 합성법
Ⅰ. 머리말
설명
2. 동사 합성법
5. 관형사 합성법
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문법, 합성어, 중세국어, 형태론, 단어형성
1. 명사 합성법
3. 형용사 합성법





단어는 그 구성이 단일한 것이 있고 복합적인 것이 있다 이들은 각각 복합어와 단일어로 부른다. ‘마쇼, 바실’에서는 앞 명사어근의 ‘ㄹ’가 탈락되었고, ‘가막가치’에서는 ‘가마괴’의 끝모음 ‘외’가 탈락되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ㄱ′. 명사 + ㅅ +명사 예)묏기슭, 믌새, 빗물
Ⅱ. 합성법
순서
Download : 중세 국어의 합성법.hwp( 69 )
②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거나 한정하는 경우
Ⅲ. 맺음말
1. 명사 합성법
예)쇠붚, 믈구븨, 겨집
예) 오줌, 밤낮, 쇼, 바실, 가막가치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본고에서는 구조주의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을 중심으로 중세 국어의 단어 형성법 중 합성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Ⅰ. 머리말
중세 국어의 합성법
Ⅱ. 합성법
ㄱ″. 명사 + 의() + 명사 예)알, 쇼의고기, 귀옛골회
【참고 문헌】
현대 국어와는 달리 대부분 통사적 합성어만 존재한다. ‘밤낮’은 ‘낮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ㄷ. 용언의 관형사형 + 명사 예) 하나비, 늘그니, 져므니, 한비, 쇠
(1)ㄱ. 명사+명사 ①두 명사가 대등하게 이어진 경우
중세 국어의 합성법 연구 리포트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1ㄱ)은 두 명사가 대등적으로 결합한 대등적 합성어와 앞의 명사 어근이 뒤의 명사어근을 수식․한정하는 종속적 합성어이다.
중세 국어의 합성법 연구 리포트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복합어는 다시 직접 구성 요소가 모두 어휘 형태소인 어근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와 직접 구성 요소가 어근과 파생 접사로 이루어진 파생어가 있다 합성어는 다시 두 어근이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눈다.(남기심․고영근, 1985 : 2007-9)
ㄴ. 관형사 + 명사 예)외, 요
A+ 받은 reference(자료)입니다.현대국어에는 명사합성법에서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이 두루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