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22:51
본문
Download : 국어사.hwp
한자는 갑인자(甲寅字)의 대자(大字)와 소자(小字) 두 종류가 사용된다 대자(大字)는 본문에 소자(小字)는 협주에 각각 사용된다 그…(drop)
Download : 국어사.hwp( 12 )
,인문사회,레포트
석보상절에 대한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의 내용을 번복할 만한 아무런 사료도 없기 때문일것이다 즉 돌아간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함이 이 책 편찬의 직접적인 동기가 된 것이다.
국어사
[국어사]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 론
Ⅱ. 본 론
1. 석보상절(釋譜詳節)의 서지적 특징
2. 석보상절의 국어사적 특징
Ⅲ. 결 론
Ⅳ. Reference List
1. 석보상절(釋譜詳節)의 서지적 특징
1) 편찬과 간본
(1) 편찬 간행의 경위
석보상절을 편찬 간행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에 관련되어는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추천을 위한 불사(佛事)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는 전경(轉經)이다. 세종의 말처럼 돌아간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방법으로 ‘독경(讀經)’만한 것이 없으므로 석보를 만들어 번역함으로써 한문을 모르더라도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석보상절의 간행 목적이라 할 수 있다아
석보상절을 번역하여 간행한 또 하나의 목적으로 훈민정음의 시용(試用)과 보급(普及)이라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더구나 석보상절은 훈민정음으로 된 최초의 산문이다. ‘전경(轉經)’은 곧 ‘독경(讀經)’이다.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과는 달리 석보상절에서 표기법의 일반적인 규범을 보여주는 것도 그와 같은 맥락이다. 그 즈음에 창제가 완성된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문자는 용비어천가에서 최초의 시험적 사용을 보게 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시용 보급은 석보상절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추천(追薦)의 방법이다.[국어사] , 국어사인문사회레포트 ,






다.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기록하는 일은 일정한 정서법적 기준이 갖추어지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설명
순서
석보상절에 대한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說明(설명) 했습니다. 또한 석보상절에서의 표기법이 그 후에 간행되는 많은 문헌들의 전범(典範)이 되고 있는 점도 훈민정음의 시용 보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아
(2) 판본에 대한 고찰
① 활자와 판식
석보상절의 간행에 사용된 활자는 한자와 한글 모두 동활자(銅活字)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