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學]공조 방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20:02
본문
Download : [공학]공조 방식.hwp
이 외부의 기상상태에 의해 크게 influence(영향)을 받는 부분을 외주부라 부른다. 또 부하의 양도 크게 된다된다. 이 외부의 기상상태에 의해 크게 influence(영향)을 받는 부분을 외주부라 부른다. 이부분을 내주부라 부른다.
내주부: 이것에 대해 건물의 내측부는 일사의 influence(영향)도 없이 주로 조명과 인간과...
제4장 공조방식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전공기방식: 전부 공기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전수방식: 전부 물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공기-수 방식: 공기와 물의 양쪽을 사용하여 운반하는 방법
냉매방식: 룸쿨러처럼 냉매로 열을 나르는 방법
제어방식에 따른 따른 공조방식
전체제어방식
조운(Zone)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단열원방식
전복열원방식
내주부/외주부
외주부: 건물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열부하 성질에 대해 생각해 보면, 건물의 벽면에서 3~6 m 정도는 일사나 외기온도의 influence(영향)을 크게 받아서 부하의 變化가 아주 심하며, 특히 11월이나 12월이 남쪽은 하루중에라도 냉방부하로 되었다가 난방부하로 되었다가 한다.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전공기방식: 전부 공기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전수방식: 전부 물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공기-수 방식: 공기와 물의 양쪽을 사용하여 운반하는 방법
냉매방식: 룸쿨러처럼 냉매로 열을 나르는 방법
열부하
열은 열부하라 불려지는 것처럼 일종의 하물로 생각
하물(열), 짐수레(공기), 트럭(물), 오트바이(냉매)
작은 하물이면 짐수레(공기)로 운반해도 좋은 것이다.
Download : [공학]공조 방식.hwp( 67 )
![[공학]공조%20방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1.gif)
![[공학]공조%20방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2.gif)
![[공학]공조%20방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3.gif)
![[공학]공조%20방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4.gif)
![[공학]공조%20방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5.gif)
![[공학]공조%20방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A%B3%B5%EC%A1%B0%20%EB%B0%A9%EC%8B%9D_hwp_06.gif)
[工學]공조 방식
제4장 공조방식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전공기방식: 전부 공기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전수방식: 전부 물로써 열을 나르는 방법
공기-수 방식: 공기와 물의 양쪽을 사용하여 운반하는 방법
냉매방식: 룸쿨러처럼 냉매로 열을 나르는 방법
제어방식에 따른 따른 공조방식
전체제어방식
조운(Zone)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단열원방식
전복열원방식
내주부/외주부
외주부: 건물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열부하 성질에 대해 생각해 보면, 건물의 벽면에서 3~6 m 정도는 일사나 외기온도의 influence(영향)을 크게 받아서 부하의 變化가 아주 심하며, 특히 11월이나 12월이 남쪽은 하루중에라도 냉방부하로 되었다가 난방부하로 되었다가 한다.
내주부: 이것에 대해 건물의 내측부는 일사의 influence(영향)도 없이 주로 조명과 인간과 기기에서 발생하는 부하로, 이러한 부하는 외주부에 비해 부하변동이 적고 대부분의 경우 냉방부하로 되기 쉽다. 또 부하의 양도 크게 된다된다.
경우에 따라 하물(열)을 보내는 측면에서 짐수레(공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짐수레(공기)에 하물(열)을 싣고, 트럭(물)으로 양쪽 모두를 운반하는 경우도 있다
하물(열)을 …(skip)
[공학]공조 방식 , [공학]공조 방식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공조 방식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工學]공조 방식
[공학]공조,방식,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다. 하지만, 하물(열)이 크거나, 목적지가 멀 때 또는 급히 운반해야 하는 경우는 많은 하물(열)을 나눌 수 있는 트럭(물)쪽이 좋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