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운송인의 고가물 책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6:33
본문
Download : 103운송인의 고가물 책임.hwp
운송인은 보통물로써 책임을 진다 다만 이를 해태한 때에는 고가물로써 책임을 진다
Download : 103운송인의 고가물 책임.hwp( 67 )
운송인의 보호를 위해 최소한 보통물로 책임을 져야 한다
5 명시하지 않은 경우
(1) 운송인이 고가물임을 알지 못한 경우(선의)





2 입법취지
2) 면책설(통설)
5 명시하지 않은 경우
(2) 운송인의 고가물을 우연히 알게 된 경우(악의)
예외
3) 보통물 주의 (절충설)
6 명시한 경우 effect
2 입법취지
2) 면책설(통설)
순서
참고data(資料)
!!!) 절충설
화폐 유가 증권 기타의 고가물에 대하여는 송하인이 운송을 위탁할 때에 그종류와 가액을 명시한 경우에 한하여 운송인이 손해를 배상 할 책임이 있다 보통물로서 책임도 지지 않는다 이를 고가물 운송인의 손해배상 책임이라 한다
(2) 단기 소멸시효
(1) 특별소멸 사유
3)학설
商法講義. 上-下 鄭燦亨著. 박영사
1) 고가물에 관하여 송하인이 명시하여야 할 사항은 종류와 가액이다 그 종류에 관하여는 운송인으 고가물임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고지하면 되고 가액은 진정한 가액을 고지하여얗 한ㄴ다
2) 고가물 책임설
(1) 운송인이 고가물임을 알지 못한 경우(선의)
1) 면책설
1 의의
4 명시의 내용시기의 요건
고가물으르 명시하지 않는 이상 운송물에 발생한 손해로부터 면책되며 운송인이 우연히 알게 되었다는 주관적 사유는 책임의 기준이 되지 않는다 즉 일반저거 신의칙에 반한다
고가물임을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가물이 훼손 멸실 되더라도 운송인은 고가물로서의 책임은 물론 보통물로서의 책임도 지지 않는다
!) 청구권 경합설
1) 면책설
A+맞은 리포트 입니다 논술 셤이나 리프트 보실 많은 도움이 되실겁입니다
4) 고가물 경우
!!) 법조 경합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화폐는 국내와의 모든 통화를 말하고 유가증권은 증거증권과 자격증권 포함한다 고가물은 사회통념상 고가의 물건 (금 은 보석) 속한다
[법] 운송인의 고가물 책임
상법강의, 김학묵 저, 등용문출판사
3 고가물의 범위
원칙
그이유는 고가물은 보통물로서의 가액을 정할 수 없고 보통물도 그 가액이 여러종류가 있어 어는 것을 보통물로 정하기가 어려우며 고가물 명시 위반한 하주에게 제재를 가한단는 측면도 있다
1 의의
2) 고가물 책임설
사견
!) 청구권 경합설
A+맞은 리포트 입니다 논술 셤이나 리프트 보실 많은 도움이 되실겁입니다 물론 고대로 제출하지 마시고 약간 수정하시는 센스 아시죠^^~~ 그럼 좋은 자료 되시기 바랍니다 ~~
3 고가물의 범위
(2) 운송인의 고가물을 우연히 알게 된 경우(악의)
!!) 법조 경합설
법제처 판결관련 싸이트 http://www.moleg.go.kr
고가물임을 알게 된 이상 운송인은 고가물에 해당하는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만약이를 해태하여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고가물로서의 책임을 진다
7 책임의 소멸시효
9 면책 약관의 효력
물론 고대로 제출하지 마시고 약간 수정하시는 센스 아시죠^^~~
1) 보통책임설
2) 고가물을 명시할 시기에 관해서는 운송인이 운송물을 위탁 받을 때까지 고가물임을 알 수 있으면 그에 상당한 주의를 할 수 있고 또한 운임의 인상도 요구 할 수 있으므로 고가물의 의사표시는 운송인에게 운송물을 인도 할 때까지 명시하면 충분하다
고가물은 멸실 훼손될 위험이 크고 규모도 크므로 운송시 각별한 주의를 하여야한다 그러므로 송하인으 사전에 이를 명시함으로써 운송인이 적절한 주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송하인이 운송인에게 명시하지 않은 고가물에 대하여도 운송인으로 하여금 고가물로서의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운송인에게 가혹하고 상거래상의 신의칙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법은 운송인을 보호하고 고가물의 운송시 사전에 고가물임을 명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규정을 둔다
그럼 좋은 data(자료) 되시기 바랍니다 ~~
설명
1) 보통책임설
상법판례강의 최완진
8 불법행위 책임과의 관계
2) 불법행위
사견
운송, 고가, 명시, 가물, 책임,
4 명시의 내용시기의 요건
3) 보통물 주의 (절충설)
1) 계약 책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