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절반 이상 ‘크게 influence(영향) 미쳤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1:18
본문
Download : 100426104701_.jpg
<표>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이 중소기업 경영에 미치는 effect(영향) (단위:%)
구분 응답률
중기 절반 이상 ‘크게 영향 미쳤다’
중기 절반 이상 ‘크게 영향 미쳤다’





다.
중기 절반 이상 ‘크게 influence(영향) 미쳤다’
보통 24.8
레포트 > 기타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중기 절반 이상 ‘크게 influence(영향) 미쳤다’
:중기중앙회
녹색성장 정책이 중소기업의 경영戰略 수립에도 상당한 effect(영향) 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순서
중기중앙회 측은 “녹색성장 정책추진이 대기업 위주로 이뤄지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정책 추진과 녹색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중소기업의 사업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융합기술 개발 및 녹색성장 기초기술 개발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크다 41.1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129개사를 대상으로 ‘녹색성장 및 기후alteration(변화) 대응 reality(실태) ’를 조사한 결과,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effect(영향) 에 대해 절반 이상인 51.2%가 ‘크게 effect(영향) 을 미쳤다’고 응답했으며 ‘전혀 effect(영향) 이 없다’는 응답은 3.9%로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약간 17.8
관심있는 녹색기술 분야(복수응답)로는 ‘태양광 발전’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 LED 등 ‘차세대 조명’(26.4%), ‘폐기물 자원화’(25.6%), ‘폐기물 에너지화’(20.9%) 등의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설명
전혀 없음 3.9
매우 크다 10.1
Download : 100426104701_.jpg( 17 )
무응답 23.3
이밖에 녹색성장 산업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이하 복수응답)으로는 ‘시설 투자 등 비용 부담’(50.4%), ‘규제 강화 우려’(20.9%), ‘관련 정보 불충분’(14.0%) 등을 많이 꼽았으며, 녹색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政府 지원정책으로는 △중소기업 녹색기술 R&D 지원 확대(38.0%) △전문인력 및 자금 지원(34.9%) △대·중소기업 녹색협력 촉진(14.0%) △국제環境(환경)규제 대응 지원 강화(10.1%) 등의 요청이 많았다. 무응답(2.3%)을 제외한 나머지 답변은 ‘보통 effect(영향) 미쳤다’(24.8%)와 ‘약간 effect(영향) 을 미쳤다’(17.8%)였다.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目標)(2020년까지 30%)에 마주향하여 는 ‘관심없음’ 등의 답변을 제외하고는 ‘기업활동에 부담 우려’(40.3%)와 ‘충분히 감축가능’(38.0%)이 반반씩 나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