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7:46본문
Download :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hwp
마지막으로 기개나 격정은 욕구적인 부분과 추론적인 부분 사이에서 두 기능을 조절하여 추론적인 부분을 보조하는 것이다. 즉, 통치자가 갖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면 교육받은 자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덕의 조화를 강조하면서 국가뿐만 아니라,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도 위와 같이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되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설명
Download :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hwp( 42 )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
교육철학,국가론,비판,플라톤
플라톤이 말하는 교육받은 자의 특징은 이상적인 국가가 무엇이며, 그런 국가를 다스리는 통치자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explanation)이 되어있다. 이러한 논리를 전개할 수 있는 이유는 국가의 덕은 수호자에게서 나오고 수호자의 덕은 결국 개인의 덕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개인과 국가는 크기만 다를 뿐 같은 것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욕구적인 부분, 추론적인 부분, 기개적인 부분을 설명(explanation)하기에 앞서 국가가 어떻게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알아보자. 이상적인 국가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덕은 통치자들의 지혜와 수호자들의 용기와 시민들의 절제이다. 또한 용기를 염색에 비유하여 설명(explanation)하는데, “용기란 일종의 유지를 말하는 것이라네. 두려워해야 할 것이 무엇이고 어떤 것인지에 대해 법률에 고나한 교육을 통해 얻어낸 판단력을 유지하는 것이지. 그리고 그것을 계속 유지해 나간다는 말은 고통 속에서도, 쾌락 속에서도, 욕망에 사로잡혀 있을 때도, 공포에 시달리고 있을 때도, 그것을 유지하고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뜻이네.” 라고 말한다. 욕구적인 부분은 욕망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 예로 갈증을 들었다.순서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
먼저, 교육받은 자는 욕구적인 부분, 추론적인 부분, 기개적인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사람이다. 또한, 이러한 것들이 서로 잘 조화를 이루고 조절되어 定義(정의)가 생기게 되는 것이 바로 교육받은 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절제란 “더 나은 쪽과 더 못한 쪽 중 어느 쪽이 지배하는 쪽으로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상호간 보게 되는 합의를 가리킨다.”라고 함으로써 지혜나 용기와는 달리, 어느 한 부분에서만 존재하면 안 되고 나라 전체에 걸쳐서 협화음과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의 4권에서 이상적인 국가를 설명(explanation)하면서 개인의 영혼과 관련지어 위와 같은 특징을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라톤은 지혜를 “그 나라 국민 일부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나라전체를 위해서 국내 정치와 외교를 총 망라해서 최선의 결과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그런 방안을 짜내는 지식”이라고 설명(explanation)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교육학] 교육철학 국가론에 대한 비판
다. 이러한 국가의 덕과 개인의 영혼의 대응적인 관계로부터, 개인이 영혼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의 세 부분이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는 것을 유추 할 수 있다. 추론적인 부분은 영혼이 추론하게 되는 것으로 욕구적인 것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