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GPS의 대한 모든 것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20:46
본문
Download : gps.doc
GPS는 관측점의 좌표(X,Y,Z)와 시각(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이므로, 비행기,선박 및 자동차와 같이 고속운동하는 물체의 위치관측과 속도관측에도 유효하다.
순서
2) 보정방법
실제로 위성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거리 reference(자료) 이외에도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는데 이 위성의 위치를 계산하는데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궤도력을 사용한다.
2) GPS 위치결정원리
Download : gps.doc( 14 )
다.
거리 = 빛의 속도 * 경과시간
1) GPS concept(개념)
2) GPS 위치결정원리
3) 사용자 부문(User Segment)
1) GPS concept(개념)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는 각 위성에서 발생시키는 부호 신호의 발생 시점과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를 측정(測定) 한 다음 여기에 빛의 속도를 곱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NNSS는 선박과 같은 저속의 항법에만 이용되고, GPS는 航空(항공) 기와 같은 고속의 항법에도 이용 가능하다. 5) 작동 원리
3) DGPS의 이해
6. GPS/INS/MEMS 통합기술 및 수신기술
3. GPS 오차
설명
3) GPS위성의 배치원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미국방성에서 자국의 군사목적을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지구상 어디에서나 기후에 구애 받지 않고 표준 좌표계에서의 위치, 속도, 시간 측정(測定) 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첨단 항법체계이다.
GPS의 대한 모든 것
본격적으로 GPS는 삼각측량의 원리를 사용하는데 전형적인 삼각측량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지점의 위치가 그 점을 제외한 두 각의 크기와 그 사이 변의 길이를 측정(測定) 함으로 결정되는데 반해 GPS에서는 알고 싶은 점을 사이에 두고있는 두 변의 길이를 측정(測定) 함으로 미지의 점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것이 고전적인 삼각측량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7. 무인航空(항공) 기 기술 1. GPS 개요
GPS 지형정보 지리정보 위성측량 사진측량 / ()
NNSS에서는 위성이 상공을 통과할 때에만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시간을 기다려 관측을 해야 하며, 관측시간이 수분 내지 수십분 필요한 데 비해, GPS에서는 임의시간으로 언제든지 관측이 가능하며, 대략 초단위의 관측시간으로 테이터가 얻어진다.
5. 항법기술
1) 개요





4. DGPS(Differential GPS)
2) 관제 부문(Control Segment)
4) DGPS 가 필요한 이유
2. GPS의 구성
GPS 지형정보 지리정보 위성측량 사진측량 / ()
1. GPS 개요
GPS 지형정보 지리정보 위성측량 사진측량
6) DGPS 종류
1) 우주 부문(Space Segment)
GPS 가 어떠한 원리로 작동되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concept(개념)적으로 매우 단순하다.